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시장등락과 수익률] 복리효과가 수익 발목 잡을 수도 있어

복리효과는 주로 장점으로만 인식
연평균수익률은 사실을 잘 왜곡해
하락장의 손실·수익 불균형 살피고
실제 수익인 연수익률을 따져봐야

대부분 투자자는 단리와 복리의 차이를 안다. 복리이자가 오랜 기간과 만나면 어떤 효과를 내는지도 알고 있다. 투자에서 복리효과는 주로 장점으로만 인식된다. 그러나 복리효과는 투자를 힘들게도 한다. 일반적으로 투자자들은 복리가 수익의 발목을 잡는 효과에 대해서는 무지하거나 지나칠 때가 많다.

투자의 복리 효과가 부정적 역할을 하는 상황을 이해하기 위해선 먼저 수익률에 대해 잘 이해해야 한다. 많은 이들이 연평균수익률(average annual return)과 복리수익을 혼동한다. 복리효과를 반영하는 실질 수익률은 연평균수익률이 아닌 연수익률(annualized return)이다. 가장 흔히 접하는 투자자산인 뮤추얼 펀드 등을 소개할 때 연수익률 대신 연평균수익률로 설명되는 경우가 많다. 거기엔 이유가 있다. 사실보다 좋게 보일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연평균수익률은 사실을 잘 왜곡한다. 왜 그런가.

연평균수익률과 복리 연수익률의 차이 = 물론 수익률만이 투자 선택의 유일한 기준은 아니다.

또 과거의 수익률이 미래의 수익률을 보장하지도 정확하게 예측해주지도 않는다. 이렇게 수익률이 투자선택의 전부가 아님에도 불구 양자를 구별하는 것은 중요하다. 수익률에 대한 바른 이해가 수익률에 대한 바른 접근을 가능하게 할 것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생각하면 이해가 쉬울 수 있다. 1만 달러를 투자했다고 가정하자. 올해 100% 수익률이 났다. 내 자금은 결과적으로 2만 달러로 불었다. 그런데 다음해 수익률이 마이너스 50%를 기록했다. 50% 손실을 봤다는 뜻이다.

내 자금은 1만 달러로 돌아왔다. 2년 후 원금 그대로인 셈이다. 이때 실제 수익률이 무엇이라고 하겠는가? '제로(zero)' 퍼센트다.

그런데 이 상황을 연평균수익률로 얘기하면 25%가 된다. '100%+(-50%)/2 = 25%. 연평균수익률은 해당 기간 매년 수익률을 산술적으로 합한 값의 평균일 뿐이다. 중요한 것은 이런 투자의 수익률을 복리 연수익률인 제로 퍼센트가 아닌 25%로 소개받는다는 점이다.

시장의 등락 = 만약 시장이 등락이라는 순환을 겪지 않고 꾸준히 동일한 수익을 발생시켜준다면 연평균수익과 복리 연수익의 차이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현실은 전혀 다르다. 현실에서 연평균수익과 실제 복리 연수익의 차이에 기여하는 가장 큰 두 가지 요인은 하락장에 따른 손실과 수익의 불균형 분포라고 볼 수 있다.

먼저 하락장에 따른 손실이 연평균수익과 실질 연수익에서 어떤 차이로 나타나는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10만 달러를 투자한 첫 해 15% 수익이 났다. 자금은 11만5000달러로 불었다. 그런데 둘째 해 15%가 떨어졌다. 내 투자자금은 얼마일까. 10만 달러가 아닌 9만7750달러다.

연평균수익률은 '제로' 퍼센트다. 수익률이 제로이면 원금이어야 하지만 실제로는 원금 이하로 자금이 줄었다. 복리 효과가 발목을 잡을 때다. 실제 연수익률은 이 경우 -1.13%다. 손실의 순서가 바뀌어도 마찬가지다. 첫 해 15% 손실이 나고 다음해 15% 수익이 나도 원금은 회복되지 않는다. 10만 달러가 8만5000달러로 줄었다 9만7750달러로 회복됐을 뿐이다. 여전히 실질 연수익률은 -1.13%다.

이런 현상은 손실이 날 때마다 최소한의 원금 회복을 위해서만도 손실률에 비해 더 높은 수익률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20% 손실이 나면 25% 수익이 나야한다. 손실이 클수록 원금회복을 위해 필요한 수익률은 더 높아야 한다. 50% 손실이 나면 100% 수익이 나야 겨우 원금이 회복되는 것이다.

수익의 불균형 분포는 매해 수익률이 다를 수밖에 없는 현실을 의미한다. 연평균수익률이 동일한 포트폴리오들이라 해도 매해 수익률이 서로 차이가 많이 날수록 즉 수익 분포가 넓으면 넓을수록 해당 포트폴리오의 실제 복리 연수익은 상대적으로 줄어든다.

현실 속에서 이 같은 불균형 수익 분포에 손실까지 들어있으면 그 부정적 효과는 더욱 커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

대안 = 투자자는 대부분 복리효과의 긍정적 면만 주목한다. 그러나 성공한 투자자들은 복리의 부정적 효과를 십분 이해한다. 그래서 손실관리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다. '투자의 귀재' 워런 버핏이 투자의 제일원칙으로 '손실을 보지마라'고 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손실을 보는 것이 포트폴리오 수익률에 어떤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지를 잘 알기 때문이다.

역사적으로 시장은 절반 이상을 15% 오르거나 15% 내리는 상황을 반복해 왔다. 이는 곧 그대로 두면 손실과 수익의 불균형 분포가 필연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그만큼 손실복리의 부정적 효과를 최소화하면 할수록 성공투자 가능성은 커지는 것이다.

결국 복리의 부정적 여파에 대응하는 가장 현명한 방법은 버핏의 조언을 따르는 것이다. 흔히들 '다음 대박 종목은 어떤 것일까'를 묻는다. 다음 애플 다음 아마존 다음 구글 다음 페이스북 다음 비트코인 등을 찾는다.

반대로 그것이 비현실적이라고 생각하면 시장을 그대로 반영하는 지수형 펀드를 눈감고 쫓는다. 그러나 어떤 경우든 손실복리의 부정적 여파에 대한 준비는 없다고 볼 수 있다.

수년간 쌓아올린 수익도 한순간에 사라질 수 있다. 회복이 힘들 수 있다. 손실 리스크(risk)를 어떻게 최소화하고 적절히 관리할 수 있는지를 먼저 확인하고 준비하는 것이 진짜 수익률을 높이는 지름길일 것이다.


켄 최 객원기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