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일반인의 상식과는 달리, 커피로 인해 소화성 궤양 및 위에서 발견될 수 있는 유기적 질환이 유발된다는 설은 확증된 바가 없다. 커피는 많은 사람이 염려하는 위의 쇠약함이나 만성 질환을 초래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위염 및 소화성 궤양이 있다는 진단을 받았거나 현재 커피로 인한 증세가 심한 경우에는 일단 커피를 삼가거나 양을 줄여야 한다.
커피와 암의 상관관계
커피가 암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는 설이 한동안 유행인 적이 있었다. 커피와 위암 그리고 대장암의 관계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아직 확실하게 밝혀진 사항은 없다.
하지만 대부분의 연구 조사 결과에 따르면 커피는 위암 발병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와 있다. 싱싱한 과일과 채소 등을 많이 섭취한 사람들에게서 위암 발병률이 낮은 것으로 미루어 보았을 때, 과일과 채소류가 위암 발생을 억제해 주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조사 결과는 대체로 인정받고 있는 사실이다.
위암의 경우와는 달리 커피를 하루 석 잔 이상 마셨을 경우 대장암의 발병률은 감소할 수 있다는 조사 결과는 여러 연구 기관에서 발표된 바 있다. 그러나 이를 확증하는 연구 결과는 아직 발표된 바가 없다. 명심해야 할 것은 이러한 연구 조사에는 많은 결함이 있을 수 있는데, 이는 특히 개개인에게 커피 외에 어떠한 다른 여러 종류의 암 발병 요인이 있는지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현철수 박사 - 마이애미 의대 졸업. 예일대병원 위장, 간내과 전문의 수료. 로체스터 대학 생물리학 박사, 시카고 대학에서 박사후 연구원. 스토니브룩, 코넬 의대 위장내과, 간내과 겸임 교수. 현재 뉴저지주 의료감독위원회 위원, 아시안 아메리칸 위암 테스크포스와 바이러스 간염 연구센터를 창설, 위암 및 간질환에 대한 캠페인과 문화, 인종적 격차에서 오는 글로벌 의료의 불균형에 대한 연구를 해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