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중앙 칼럼] '2020년 경제 위기설'의 실체

10년 전 모든 게 바닥이었다. 증시는 반토막 나다시피 했고 집값은 끝없이 떨어졌다. 소비시장이 꽁꽁 얼어 붙자 기업들은 생존을 위한 구조조정에 바빴다. 차압과 숏세일 주택이 쏟아졌고 실업자는 넘쳐났다. 절대 망할 것 같지 않았던 은행조차 부실로 강제 폐쇄되는 일이 벌어졌다. 이른바 서브 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촉발된 금융위기 당시 모습이다. 상상조차 하지 못했던 일이었다. 돈이 흘러 넘쳤던 게 엊그제 일이었기 때문이다. 부동산 가격이 고공행진을 하면서 에퀴티로 재투자에 나서고 고급차를 구입하고 호화 해외 여행을 즐겼다. 이런 흐름에 편승하지 못하면 마치 바보가 된 듯 했다. 그러나 '돈잔치'의 끝은 쓰디 썼다.

지금 또 한 번의 호황기를 보내고 있다. 최소한 경기 지표상으로는 그렇다는 얘기다. 실업률은 18년 만에 4% 밑으로 떨어져 완전고용 상태고, 올해 경제성장률 3% 달성도 가능하리란 전망이다. 평균 임금 상승률 역시 3%대를 예상한다. 금융위기를 벗어나면서 시작된 경기 확장이 역사상 두 번째로 긴 기간 이어지고 있다.

그런데 여기저기서 '위기설'이 나온다. 올해 초만 해도 간헐적이었으나 요즘 부쩍 잦아졌다. 이르면 내년, 늦어도 2020 년에는 경기가 침체에 빠질 것이라는 주장이다. 일부 더 비관적으로 보는 쪽에서는 침체의 정도가 금융위기때 보다 더 지독할 수도 있다고 겁을 준다.

'위기론'의 근거는 역설적이게도 모든 게 너무 좋다는 데 있다. 이 '좋은 것'들이 전형적으로 경기 확장기 마지막 단계에 나타나는 현상들이라는 게 문제라고 지적한다. 타이트한 인력시장으로 인해 임금이 오르고, 기업의 비용 증가로 이어진다. 기업은 가격을 올릴 수 밖에 없고 이는 인플레이션 상승을 유발한다. 이렇게 되면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는 경기 과열을 막기 위해 기준금리 인상에 나서게 된다. 기준금리 인상은 기업과 개인의 금융 비용 부담 증가를 초래해 투자와 소비가 위축될 수 밖에 없다. 이런 일련의 과정에서 이미 금리인상의 단계에 와 있다는 것이 '위기론자'들의 분석이다.



실제로 연준의 금리인상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그동안은 올해 3차례 인상 전망이 주를 이뤘으나 지난 13일의 금리인상 발표를 기점으로 이제는 '4차례 인상'이 대세가 됐다. 하반기에 두 번 더 올릴 것이라는 얘기다. 이어 내년에도 3차례 인상 가능성이 높다. 비록 0.25%포인트 씩의 소폭이긴 하지만 기준금리가 2년 간 무려 7차례나 오르는 것이다.

기준금리가 오르면 가장 큰 타격을 받는 것은 역시 서민층이다. 각종 소비자 금리도 동반 상승하면서 금융비용 부담이 늘기 때문이다. 당장 크레딧카드 연체율에서 이상이 감지되고 있다. 2015년 1분기 1.96%였던 서민층의 크레딧카드 연체율이 올해 1분기에는 2.54%로 높아졌다고 한다. 이 기간의 기준금리 인상 횟수는 총 6차례. 결국 앞으로도 서민들의 크레딧카드 연체율은 더 높아질 것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대규모 감세에 따른 재정적자 확대도 문제다. 내년에 연방의회에서 재정적자 상한선을 높이는 문제가 제대로 처리되지 않을 경우 국가신용도 하락은 물론 경제에도 큰 부담이 된다. 여기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전방위로 벌이고 있는 무역분쟁의 영향도 변수다.

사실 '위기설'이 그야말로 '설'로만 끝났으면 하는 바람이다. 그러나 1%의 가능성에도 대비는 필요하다.

한인들은 10년 전 많은 것을 잃었다. '실패 학습'은 한 번이면 족하다.


김동필 경제부장 kim.dongpil@koreadaily.com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