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이 아침에]백지장을 왜 맞들까?

조 현 용 / 경희대학교 국제교육원 원장

‘백지장도 맞들면 낫다.’라는 속담이 있다. 이건 쉬운 속담이다. 아무리 작은 일이라도 힘을 합치면 낫다는 말이다. 그런데 여기서 과장법의 비유임은 알겠는데, 그래도 백지장은 너무했다는 생각이 든다. 그래서 농담으로 백지장은 맞들면 찢어진다는 말도 나왔다. 또 어떤 사람은 백지장 정도는 민폐 끼치지 말고 혼자 들으라는 말도 한다. 하긴 요즘은 백지장을 들고 다닐 일도 잘 없다. 둘둘 말아 통에 넣고 안전하게 들고 다닌다.
비슷한 속담으로 ‘콩 한 조각도 나누어 먹으라.’는 표현도 있다. 이 속담에 대해서도 콩 한 조각을 나누어 먹어서 간에 기별도 안 가겠다는 둥 말이 많다. 어떤 사람은 콩 나누려다가 힘 다 빠지겠다는 우스갯소리를 한다. 생각해 보면 일리가 있는 말이기도 하다. 콩 나누어 본 사람들은 다 안다. 얼마나 힘든지. 겨우 반으로 잘랐다 하더라도 콩 반 조각으로 기운이 나겠는가? 입맛만 버릴 수도 있다.
그럼에도 이 속담들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왜냐하면 이 속담들은 평상시 상황을 전제한 것이 아니다. 비상 상황에서 빛을 발한다. 내 힘이 아무리 작더라도 상대에게는 도움이 될 때가 있다. 또 어떤 때는 내가 바쁘다는 핑계로 도움을 주지 않게 될 때도 있다. 이럴 때 이 속담은 위력을 발휘한다. 내 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 언제나 열려있어야 한다. 비록 내 힘이 작다하여도, 아무리 바쁘더라도 내가 도움이 될 수만 있다면, 또 그가 간절히 원한다면 선뜻 손을 내밀어야 한다. 그럴 때 백지장도 맞들면 낫게 된다. ‘백지장’은 우리의 핑계대고 싶은 마음을 나무라고 있다.
배부를 때 콩은 아무 의미가 없다. 아니 아주 주린 배가 아니라면 콩 한 조각은 의미가 없을 수 있다. 하지만 정작 위급한 상황이 오면 사람들은 나눌 생각을 잊는다. 배부를 때 나누는 것은 어쩌면 쉬운 일이다. 소 한 마리를 나누어 먹는 것은 어쩌면 할 만한 일일 수 있다.(물론 소 한 마리도 나누어 먹지 못하는 수많은 사람이 있다.) 하지만 내가 힘들 때, 우리가 굶주릴 때는 사람이 변한다. 변해서는 안 된다고 수없이 다짐하지만 변한다. 그래서 이 속담은 변하지 말아야 함을 들려주고 있다. 여유 있을 때부터 변하지 않고 나누는 연습을 해야 한다. 그런 버릇을 들여놓아야 정말 어려울 때 ‘버릇처럼’ 나눌 수 있다.
한편 백지장과 콩 한 조각은 또 다른 비유를 담고 있다. 단순히 돕고, 단순히 나누는 것만은 아니다. 무엇을 돕고, 무엇을 나눌 것인가? 그 답은 ‘희로애락(喜怒哀樂)’에 있다. 슬프고 힘든 일이 있으면 작은 일이라도 두 팔 걷고 도와야 한다. 화가 나는 일이 있으면 같이 화를 내기도 하고, 그 말을 들어주기도 해야 한다. 말을 들어주는 것은 작은 일처럼 보이나 어떨 때는 그게 가장 큰 위로가 된다. 이렇게 해야 백지장도 콩도 의미가 살아난다. 친구에게 기쁜 일은 내 일처럼 기뻐하고, 더 즐겁게 어울려야 한다. 혼자보다는 둘이 이 세상을 살아가는 데 큰 힘이 된다. 서로의 길벗이 되어주고, 말동무가 되어 준다. ‘함께’라는 말을 들으면 언제나 힘이 난다.
작은 일이니까 하고 지나쳐 버리면 큰 일 앞에서도 비겁해진다. 우리는 비겁한 스스로가 부끄럽고 두렵다. 서로에 대한 세심한 배려가 세상을 더 따뜻하고 살맛나게 한다. 백지장도 맞들면 낫다. 콩 한 조각도 나누어 먹어야 한다. 늘 우리의 마음속에 있는 백지장과 콩 한 조각을 보아야 한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